• 아카이브

    • 아카이브
    HESG > 아카이브
    Total 746건 133 페이지
      • [국내기사] 'NGO도 혁신이 필요하다' 월드비전이 바꿀 후원 생태계

        작성일 10-26 | 작성자 HESG | 조회 1284

        “ESG는 단순한 유행이나 사라질 이슈가 아닌, 인류의 공존을 위해서 당연히 추구해야 할 가치입니다. 이상고온이나 가뭄, 홍수 등 환경문제(E), 인권과 산업안전, 공정거래 등 사회문제(S), 투명하고 공정한 이사회 운영, 내부감시기구의 건강한 작동 등 지배구조(G)는 우리 모두의 삶과 직결된 부분입니다. (중략) 다만, 기업 입장에서는 ESG를 하고 싶어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위해 월드비전은 작년에 ESG 사회공헌본부를 만들었습니다. ESG에 투자하고 싶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기업들에 E..

      • [국내칼럼] 사회적 경제기업과 ESG 시대의 역설

        작성일 10-26 | 작성자 HESG | 조회 1313

        종종 심사위원으로 지원프로그램에 신청한 각종 스타트업, 소셜벤처, 사회적 경제기업들의 회사현황과 사업성과를 검토하게 된다. 심사과정을 통해 사회적 경제기업과 다른 기업군을 객관적인 잣대로 비교하게 되는데 사회적 경제기업들이 일반 중소기업, 혹은 창업기업보다 낮은 평가점수를 받아 지원사업에 선정되지 못하는 경우를 자주 본다. 문제점이 무엇일까. 사회적 경제기업이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는 명확했지만 그 가치를 시장에 배급할 수 있는 견고한 비즈니스모델이나 가치의 크기를 혁신적으로 배가할 수 있는 기술개발 활동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국내칼럼] ESG 리더십이 필요한 시대다

        작성일 10-26 | 작성자 HESG | 조회 1304

        ESG에서 E뿐 아니라 S와 G에도 관심이 점점 늘고 있다. S는 공정한 보상과 훈련·교육 지원, 다양성, 포용, 존엄, 존중,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기대한다. 사람에 관한 것이고 직장생활에 관한 것이며, 자본주의와 돈(금융)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ESG는 새로운 시대의 리더와 리더십으로 귀결된다.지금 ESG 리더십이 필요한 이유다. 세상은 바뀌었다. 가장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한 자다. 예전처럼 강압적으로 지시하고 명령하는 시대가 아니다. 설명하고 겸손한 질문으로 태도와 자세를 바꾸어 함..

      • [국내칼럼] ESG의 새로운 키워드

        작성일 10-26 | 작성자 HESG | 조회 1278

        ESG의 새로운 트랜드는 무엇일까? 필자는 ESG의 ‘재무화와 실질화’로 답하고 싶다.2020년대를 맞이하면서 각종 산불, 폭우 등으로 기회 위기의 심각성을 체험하면서 환경 이슈가 급부상했고 각국이 대처에 나셨다. 탄소 및 온실가스 규제(CBAM)와 탄소배출권 거래제도(ETS)로 인해 나라별, 산업별, 기업별로 배출량이 과도할 경우 ‘세금이나 과징금’을 부과하고, 남거나 모자라는 탄소배출권을 서로 사고파는 ‘매매’를 해야 한다. 글로벌 고객에게 물건을 파는 수출 기업은 사회 환경 관련 직접적인 요구를 반영해야 ‘거래 유지’가 가능하..

      • [국내칼럼] 너무 많은걸 결정하는 ESG점수

        작성일 10-26 | 작성자 HESG | 조회 1286

        ESG는 머스크의 표현대로 사기일까. 일단 'ESG를 열심히 하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면 수익률을 높인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생각하지 말고, ESG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자. 기업의 ESG 실행이 굉장히 바람직한 일이고, 앞으로 세상이 당연하게 여겨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최근 불거진 문제는 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 즉 어떻게 점수를 주느냐이다. 결국 점수와 랭킹에 따라 너무나 많은 것이 결정되기 때문이다.매일경제 2022년 7월 26일 '너무 많은걸 결정하는 ESG점수' 원문 링크https://www.mk...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