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카이브

    • 아카이브
    HESG > 아카이브
    Total 725건 139 페이지
      • [국내기사] EU 환경규제 ‘배터리 여권’ 법제화 착착…우리는?

        작성일 10-19 | 작성자 HESG | 조회 1154

        유럽연합(EU)이 새​ 배터리 규제안의 법제화를 추진한다. 배터리의 생산·이용·폐기·재사용·재활용에 걸친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해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이고 책임 있는 재활용을 보장하는 내용이다. 이른바 ‘배터리 여권(Battery Passport)’ 제도로, 2026년 시행 예정이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4일 ‘EU 배터리 여권으로 살펴본 이력 추적 플랫폼의 필요성’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 여권을 도입할 경우 결국에는 유럽연합 환경규제에 부합하는 배터리만 역내에서 거래되는 효과를 내기 때문에 유럽연합 기업은 물론 역외..

      • [국내기사] 카카오, 국내 최초 ‘기술윤리위원회’ 출범…“알고리즘 투명성 강화”

        작성일 10-19 | 작성자 HESG | 조회 1196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는 이에스지 경영의 일환으로 ‘카카오 공동체 기술윤리 위원회’(이하 기술윤리위·Tech for good committee)를 출범한다고 25일 밝혔다. 기술윤리위는 카카오 서비스의 인공지능 윤리규정 준수 여부와 위험성 점검, 알고리즘 투명성 강화 등을 위한 정책 개선 업무를 수행한다. 이채영 카카오 기술부문장이 위원장을 맡고, 카카오게임즈·카카오페이·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브레인 등 주요 계열사의 최고기술책임자 8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카카오는 인권 및 기술윤리 관련 정책을 ..

      • [국내칼럼] 중소기업도 ESG 경영을 준비해야

        작성일 10-19 | 작성자 HESG | 조회 1199

        비재무정보 공시 의무는 유럽연합 1만1700여 대기업에 적용됐으나, 2021년 공표된 기업의 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으로 그 대상이 모든 대기업과 상장 중소기업 등 4만9000여개로 대폭 확대됐다. 공급망 실사 제도는 글로벌 공급망 가치 사슬에 포함된 모든 기업이 이에스지를 고려한 비즈니스를 하도록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라 하겠다. 결국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이러한 규제는 중소기업도 이에스지 경영을 준비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중소기업 이에스지 경영 현주소는 어떤가. 2021년 중소기업중앙회 조..

      • [국내기사] 유럽 “다시 석탄발전”…러 전쟁발 ‘온난화 대책’ 뒷걸음질

        작성일 10-19 | 작성자 HESG | 조회 1205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이탈리아 등 다른 유럽연합 회원국들도 독일을 따라서 석탄발전소 재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러시아의 공급 감축과 천연가스 가격 폭등으로 인해 ‘패닉’에 빠진 유럽 주요국들이 어쩔 수 없이 석탄화력을 일시적으로 늘리고 있는 것이다.” 한겨레 2022년 6월 21일 '유럽 “다시 석탄발전”…러 전쟁발 ‘온난화 대책’ 뒷걸음질' 기사 원문 링크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47932.ht..

      • [국내기사] 아직도 윤석열 정부는 “RE100이 뭐죠?”

        작성일 10-19 | 작성자 HESG | 조회 1259

        RE100은 명목상 구속력 없는 자발적 캠페인이지만, 이미 RE100을 달성한 기업이 다시 부품 등을 공급받는 협력회사에 RE100을 요구하는 등 사실상 참여가 강제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을수록 시장에서 불리해지도록 압박하는 흐름도 본격화한다. 글로벌 금융회사, 기관투자자들은 진작부터 이에스지(ESG, 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압박해왔다. 하지만 RE100에 가입한 기업 수는 빠르게 늘어나는 반면,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다른 주요국에 견줘 심각하게 적다. 산업통상자원부는 ..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