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카이브

    • 아카이브
    HESG > 아카이브
    Total 744건 17 페이지
      • [국내칼럼] ESG, 도입은 했지만 인식 부족하고 제도도 미비했다

        작성일 01-03 | 작성자 HESG | 조회 1035

        대한민국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터널에 갇혔다. 자본주의가 스스로 진화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던 ESG가 터널에 갇힌 것은 여러 요인이 있다. ESG에 대한 각 경제 주체의 생각은 다르다. 대기업은 처음엔 긴장했으나 지금은 워싱(Washing·위장) 방법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중소기업은 처음엔 ESG를 너무 몰랐고 지금은 혼란스럽다. 시민단체는 처음엔 혹시나 하고 기대했으나 지금은 걱정이 많다. 그 외 많은 기관·단체는 ESG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고민은 많이 하지만 딱히 실행하는 것은 없다. 최근엔 러시아-우..

      • [국내칼럼] '위기를 기회로'…ESG 경영과 협동조합

        작성일 01-03 | 작성자 HESG | 조회 1007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빼고는 경영을 논할 수 없는 시대가 왔다. 2021년 이후 국회에 상정된 관련법 개정안 및 제정안은 100여 건이 넘는다. 법안들의 핵심 골자는 ESG 관련 공시내용에 대한 평가 결과를 공개하고 우수기업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것이다. ESG 관련법은 기업 경영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정부 조직을 비롯한 모든 기업 및 협동조합도 ESG 경영에서 예외일 수 없다. 2022년 농협대학이 개설한 ESG경영과정을 수료한 후 농협 경영에 접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육을 받으며 느꼈던 점은 ESG 경영..

      • [해외기사] How 'ESG' came to mean everything and nothing

        작성일 01-02 | 작성자 HESG | 조회 1036

        전체 ESG 운동의 취약성, 그리고 몰락의 주요 촉매제가 된 것은 구체적인 의미가 거의 없는 포괄적인 캐치프레이즈로 변질된 이름에 있을 수 있다. 먼저 런던 비즈니스 스쿨의 알렉스 에드먼스(Alex Edmans)는 ESG의 "환경(Environmental)"과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가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는 "환경과 사회는 더 넓은 사회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봉사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고, 거버넌스는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거버..

      • [해외칼럼] Have we reached peak ESG?

        작성일 12-27 | 작성자 HESG | 조회 1014

        한 해 이상동안 ESG에 대한 균형이 바뀌고 있다. ESG에 문제가 있음을 보여주는 가장 강력한 지표는 블랙록의 회장 겸 CEO인 래리핑크의 연례 서한이다. 올해 핑크는 비평가들에 의해 '무기화'된 용어를 더이상 사용하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ESG라는 용어가 글로벌 기업의 권력을 상징하는 신조어로 선포되고, 지지자들은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수단으로 해석하고 있음에도 ESG는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하지만 ESG의 문제점은 이론과 실제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ESG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시작되었지만, 결국 대기업이 부..

      • [국내기사] 美블랙록이 상장사 분석했더니...ESG 요소인 '성별 다양성'이 수익률 좌우

        작성일 11-08 | 작성자 HESG | 조회 1061

        직장 내 남성과 여성이 비율이 동일하고, 간부들의 성비가 다양한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자산 수익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ESG 요소가 회사에 이득을 주는 또하나의 지표로 해석된다.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최근 주요 선진국 상장 대기업(MSCI World index) 1250개를 대상으로 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2022년까지 조직 내 다양성이 우수한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연평균 자산 수익률이 2%가량 높게 나왔다. 직장 내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50대..

    검색